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중국 대행사
- 사업계획서
- 중국시장
- 스토리텔링
- 내부역량분석
- 기획
- 커뮤니케이션
- 티몰
- 시스템
- 전략
- 마케팅
- 전술
- 시장분석
- 타오바오
- 산업 분석
- 환경분석
- 광고
- 전략수립
- 기획안
- 컨셉
- #기획 #마케팅 #기획서 #기획안 #전략 #경영 #경제
- 중국 온라인 쇼핑몰
- 카피
- 패러다임
- 브랜딩
- 조직문화
- 경영
- 문제해결
- 기획서
- 리더십
- Today
- Total
목록기획 (13)
이기는 기획
기획관련 용어의 정리 2기획이란 무엇인가? _ 길영로 목적과 목표를 구분 못하면 쓸 데 없는 일을 하게 된다 고단샤에서 출간한 에 의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목적을 ‘존재인’이라고 했다. 존재인이란, 사물의 존재의 이유를 말한다. 일을 시작할 때는 항상 목적부터 명확화 해야 한다. 목적을 명확화 하지 않고 일을 하면 쓸 데 없는 일을 하게 된다. 목적이 사라지만 존재의 이유도 사라진다. 목표에는 반드시 두 가지 개념이 들어가야 한다. ‘기간’과 ‘수준’이다. 목표는 ‘일정 기간 내에 도달 또는 달성해야 할 바람직한 수준’이다. 목표를 설명할 때 ‘바람직한’이라는 말도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다. 바람직하다는 말은 두 가지가 동시에 충족되었을 때 성립하는 것이다. 첫째, 자기 자신이 만족해야 한다. 내가 만족하..
기획관련 용어의 정리 1기획이란 무엇인가? _ 길영로 기획이란 무엇을 왜 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획은 주어진 목표에 관한 구체적인 절차를 정한다든지 시행을 할 때의 순서를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기획이 목표 설정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계획은 기획한 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의 저자 다코 가가야쿠 기획이란 ‘Why to do?’ 와 ‘What to do’ 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즉, ‘왜 할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계획은 ‘How to do?’ 즉,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다. 기획은 다음과 같이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개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환경 ..
기획방향 결정 첫째, 기획이 왜 태어났는지 출생의 이유를 밝히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둘째, 목적을 명화화 하고셋째, 기획의 타이틀을 정해야 한다. 기획의 출생증명을 위해 정보를 수집한다 기획의 방향을 결정하는 첫 번째 단계에서는 왜 이 기획이 시작되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정보를 수집한다. 그렇다면 어떤 정보를 수집해야 할까? 일본의 정보공학자인 사카이 나오키 교수는 정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어떤 일이 진행되고 있을 때, 똑같은 상황의 진행형이라면 거기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한 일이 순탄하게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 어떠한 변화가 생겼다면 그 변화에 주목하여 점검할 필요가 있다. 그 변화는 그 일의 관계자가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참다운 정보이며, 결국 정보는 ‘변화’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