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내부역량분석
- 티몰
- 중국시장
- 마케팅
- 리더십
- 경영
- 사업계획서
- 시스템
- 패러다임
- 중국 온라인 쇼핑몰
- 커뮤니케이션
- 환경분석
- 전략수립
- 시장분석
- 기획서
- 산업 분석
- 전술
- 브랜딩
- 스토리텔링
- 카피
- 기획안
- 조직문화
- 광고
- 기획
- 타오바오
- 전략
- 중국 대행사
- 컨셉
- #기획 #마케팅 #기획서 #기획안 #전략 #경영 #경제
- 문제해결
- Today
- Total
목록기획 (13)
이기는 기획
해결안은 Plan B까지 준비하라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적의 군사를 그대로 두고서 항복시키는 것이 최상책이며,전투를 벌여서 적국을 물리치고 항복시키는 것은 차선책이다. 손자병법 기획에서 Plan B란 Plan A가 성공하지 못할 경우에 진행할 계획을 말한다. 기획서에서 구성요소의 정점은 해결방안 제시이다. 파악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야말로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는 지름길이다. 전략적으로 2가지 이상의 옵션을 제공하라 문제해결 방안은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각 옵션의 장점과 단점, 선택기준 등을 미리 준비하여 의사결정을 돕는 역할이 중요하다. 기획서는 가설을 정교화하고 선택사항을 명료화하여 의사결정을 돕는 역할을 한다. 해결방안을 제시한다는 것은 현실적 대안이 뒷받침 될 때..
목적은 공유하고 목표는 구체화하라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목표는 욕구와 다르다. 목표와 욕구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행동할 의도가 없는 욕구는 가질 수 있지만,행동할 의도가 없는 목표는 가질 수 없다. 톰 모리스 목적과 목표의 차이를 아세요? 기획에서 목적은 이끄는 것이라면, 목표는 구체화 시키는 것이다. 기획서의 ‘목적(Purpose)’은 ‘이루겠다는 의지’를 강화시키고, ‘목표(Goal)’는 ‘도달해야 할 모습’을 깨닫게 해준다. 목표설정은 기획자가 분석력을 발휘하여 행하는 논리화 작업의 결론을 제시하는 부분이며, 기획의 당위성과 기획이 수행하는 역할을 명확히 하기 때문에 클라이맥스가 된다. 목적과 목표에 의해 이것이 실현되면 그야말로 ‘꼭 도달하고 싶다’라는 기대 심리를 갖도록 기획서를 작성해..
문제해결식 글쓰기를 하라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나에게 문제해결을 위한 1시간이 있고, 내 삶이 달린 문제가 주어진다면나는 질문이 무엇인가에 대해 55분 생각할 것이다.나머지 5분은 그저 경험적인 계산에 불과하다. 아인슈타인 미국의 경영학자 짐 콜린스는 ‘고슴도치와 여우’의 예를 들면서, 교활한 여우가 고슴도치에게 늘 지는 것은 ‘여우는 많은 것을 알지만 고슴도치는 하나의 큰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며 무엇보다 핵심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비즈니스에서 성공을 하려면 고슴도치처럼 복잡한 개념을 단순하고 명쾌하게 바꿔 핵심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획서에서 해결하려는 진짜 문제는 무엇인가? 기획서 작성의 핵심은 한마디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먼저 전체적인 컨셉맵을 그려라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문제제기는 종교가나 예술가처럼, 상황파악은 과학자처럼, 본질추구는 철학자처럼, 구상계획은 정치가처럼, 구체적 대책은 사업가처럼,절차화는 기술가처럼 KJ법 창시자, 카와기다 지로 기획서 초안은 어떻게 구성하면 될까? 초안은 자신의 생각을 문서로 객관화시켜보는 과정이다. 기획서가 한 번에 OK 받기 위해서는 초안의 골격을 제대로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컨셉(Concept)’이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여러 관념 속에서 공통된 요소를 뽑아내어 종합해서 얻은 하나의 보편적인 관념을 말한다. 기획서는 용어의 정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첫째,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란 어떤 개념의 의미를 사전적으로 정의를 내린..
모든 기획은 자료조사에서 시작된다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사건 조사에 필요한 것은 사실 뿐이다. 전설이나 소문은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아서 코난 도일 자료조사로 시장이나 동향을 파악하라 자료조사의 대표적인 방법은 정량적 조사와 정성적 조사가 있다. ‘정량적 조사’는 양에 따라 조사하는 것이고, ‘정성적 조사’는 종류와 특징에 따라 조사하는 것이다. 정량적 조사가 여론조사라면, 정성적 조사는 인터뷰 조사방법이다. 정량적 조사는 사물의 양적 측정과 관련되어서 흔히 ‘하드 데이터(hard data)’라고 하고, 정성적 조사는 사물의 존재 이유를 이해하는 것으로써 ‘소프트 데이터(soft data)’라고 한다. 의미있는 정보의 4가지 조건 목적성 : 이 정보가 목적에 맞는가?시의성 : 이 정보가 핫이슈..
생각의 지도를 그려라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사고는 마치 장군이 휘하 군대를 행동시키기 전에 지도 위에 작은 모형들을 움직여 보듯이, 적은 양의 에너지로 하는 실험적인 행동이다. S. 프로이트 생각은 어느 한 곳에 안착하기 보다 둥둥 떠다니는 습관이 있다. 그래서 생각을 어디에 안착시키기 전에 밑그림을 그려보는 것이 좋다. 생각의 지도를 그리는 방법으로 생각나는 대로 아이디어를 내놓는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말하는 내용을 글로 써놓고 다듬는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 ‘전체적 핵심어를 적고 그것에 확산하여 덧붙이는 ‘마인드맵(Mind Map)’,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 ‘로드맵(Road map)’ 등이 있다. 생각의 지도를 그릴 때는 컴퓨..
기존의 틀을 버려라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위대한 정신을 가진 사람은 항상 평범한 사람의 극심한 저항에 부딪힌다. 아인슈타인 기존의 틀을 버린다고 해서 전혀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틀을 버리고 새롭게 ‘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틀을 깨는 기획을 하려면 누구나 사고의 틀에 갇혀 있을 때에는 고정된 사고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기획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해결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기획이란 단순히 일련의 사실을 정연하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인식을 바꾸는 행위(Reframing)이다. 따라서 기획자가 주도권을 잡고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하나의 사물을 볼 때 서 있는 면만이 아니라 다양한 면을 고려한 기획서가 상대방의 마음을 확 사로잡을 수 있..
기획을 잘하려면 질문하고 질문하고 또 질문하라기획서 마스터 _ 윤영돈 비관주의자의 말은 대개 옳다. 하지만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은 낙관론자다. ‘무엇을’ ‘어떻게’만 묻는 사람과 ‘ 왜’를 묻는 사람의 차이다. - 사이먼 사이넥 기획적 사고력을 키우는 질문, ‘왜(WHY)?’ 기획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독도 좋지만 숙독을 하는 것이 더 좋다. 한 권을 읽더라도 깊이 생각하면서 스스로 터득할 수 있도록 질문을 해야 한다. 우리 대다수는 자신이 ‘무엇을(WHAT)’ 하는지 알고 있다. 그리고 실무자들은 자신이 ‘어떻게(HOW)’ 하는지도 안다. 그들은 이 ‘어떻게’에서 경쟁력의 요체가 나온다고 믿는다. 그러나 왜(WHY)’를 알고 그걸 말하는 사람은 드물다. 어떤 일을 할 때 무엇을(WHAT), 어떻게(HO..
정보관리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비축한다기획이란 무엇인가 _ 길영로 컨셉을 개발하고 나면 기획의 마지막 단계인 구상 및 실행계획이 이어진다. 구상이란 기획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셉 하에서 구체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을 말한다.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상사로부터 지시를 받은 후에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과 그 전에 아이디어를 비축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방법이다. 아마추어는 상사로부터 의뢰를 받고 나서 아이디어를 생각하려 한다. 그러나 프로는 일상생활을 하며 생각해 두었던 일이나 순간적으로 떠오른 일들을 미리 자세하게 기록해 둔다.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미리 갖추어 놓는 것이다. 아이디어를 비축할 때 많이 쓰는 것이 5W1H다. 일본의 프로모션 기획 전문가인 구보다 다스야..
컨셉은 기획에서 접착제와 꼬치구이 역할을 수행한다기획이란 무엇인가 _ 길영로 컨셉의 조작적 정의는 ‘현상분석을 통해 명확화 한 과제에 대하여 그 해결 방법을 한 마디로 표현한 것’이다. 컨셉은 ‘Con’과 ‘Cept’으로 이루어져 있다. ‘Con’은 ‘공통으로’라는 뜻이고, ‘Cept’은 ‘품고 있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컨셉은 ‘공통으로 품고 있는 생각’이다. 전 세계인이 공통으로 품고 있는 생각이 컨셉이다. 컨셉은 기획에서 클라이언트의 생각과 플래너의 생각을 공통으로 묶어 주는 역할을 한다. 상사 또는 의뢰인의 생각과 실무자의 생각이 같다면 그 기획은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컨셉을 개발할 때 한 가지 중요한 것이 있다. 현실 인식이 결여되어서는 안 된다. 아무리 생각이 좋아도 그 생각에 현실 인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