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획안
- 패러다임
- 경영
- 내부역량분석
- 환경분석
- 전략
- 리더십
- 기획
- 전술
- 조직문화
- 티몰
- 스토리텔링
- 광고
- 시장분석
- 기획서
- 카피
- 산업 분석
- 브랜딩
- #기획 #마케팅 #기획서 #기획안 #전략 #경영 #경제
- 문제해결
- 사업계획서
- 중국시장
- 타오바오
- 시스템
- 커뮤니케이션
- 중국 온라인 쇼핑몰
- 컨셉
- 마케팅
- 중국 대행사
- 전략수립
- Today
- Total
목록중국 대행사 (3)
이기는 기획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살아남는 법 3중국 온라인 쇼핑몰 컨설팅북 _ 박충국 담당자와 서로 윈윈 관계를 만들어라 먼저,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친구가 되어야 한다. 또한 필요한 사람이 되어주자. 영업 담당자와 구매 담당자는 일반적인 관계가 되기 쉽다. 영업 담당자는 항상 아쉬운 입장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으로 사업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결국 업무 담당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면 성공적으로 성과를 내야 한다. 구매 담당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실적에 영향이 미치는 업체에 눈길이 갈 수 밖에 없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매출을 올릴 수 있는 더 좋은 브랜드와 상품을 제공해야 한다. 한중 온라인 채널을 지배할 오케스트라를 찾아라 한국과 중국은 예전에는 별도의 시장으로 업무 역할이 분명했다. 한국은 한국 유통..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살아남는 법 2중국 온라인 쇼핑몰 컨설팅북 _ 박충국 보고서 만드는 기업과 먼저 부딪쳐보는 기업 바야흐로 중국은 온라인 기업의 시대다. 온라인 업계에서는 매일 새로운 회사가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A사는 일찍이 중국으로 진출했고,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했다. 중국 유통 시장을 잘 이해하고 있는 A사는 온라인 시장에도 진출했다. A사와 함께 B사는 티몰과 합자해 한국관 대행 업무를 시작했다. 티몰 한국관이 폐쇄된 후 2년이 지난 지금, B사는 한국 주요 업체 대행을 맡으며 빠르게 변하는 중국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반면 A사는 타사 브랜드보다는 주로 자사 브랜드로 방향을 선회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의 주요 온라인 교두보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놓친 것 같다. B사는 변화하는 온라인 흐름..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살아남는 법중국 온라인 쇼핑몰 컨설팅북 _ 박충국 티몰 한국관을 통해 본 우리의 현실 티몰 국제 한국관이 2015년 5월 18일에 오픈했다.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최고의 플랫폼이 열렸고 한국의 동대문 시장을 옮겨놓았다며 난리법석이었다. 하지만 한국관은 성공하지 못했다. 정식 통관을 통해 중국까지 수입한 상품은 가격 경쟁력이 없었다. 또한 중소기업 상품은 브랜드가 알려져 있지 않다 보니 전혀 판매가 되질 않았다. 티몰에서는 국제관을 실패로 보고 주 유입량이던 전면 카테고리를 삭제해버렸다. 티몰 한국관이 다시 문을 열었다. 국제 물류비의 절감과 해외 상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관심 덕분이었다. 티몰과 티몰 국제는 차이점이 있다. 티몰은 중국 내수로 유통되는 B2C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