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내부역량분석
- 시스템
- 경영
- #기획 #마케팅 #기획서 #기획안 #전략 #경영 #경제
- 리더십
- 중국 온라인 쇼핑몰
- 전략수립
- 커뮤니케이션
- 컨셉
- 기획안
- 패러다임
- 환경분석
- 티몰
- 중국시장
- 기획
- 전략
- 마케팅
- 브랜딩
- 중국 대행사
- 카피
- 산업 분석
- 문제해결
- 기획서
- 타오바오
- 사업계획서
- 시장분석
- 조직문화
- 광고
- 전술
- 스토리텔링
- Today
- Total
목록전략 수립 (2)
이기는 기획
과제정의를 통해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만들어라 _ 실행계획 수립 2전략 수립의 신 _ 박경수 전략 수립에 있어 실행의 문제는 후순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일단 전략이 좋아야 실행을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전략 수립과 마찬가지로 실행도 우선순위에서 밀리지 않는다. 실행이란 목적과 방법을 검토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끈기 있게 추진하고 책임관계를 명확히 하는, 체계적이고 엄격한 프로세스를 말한다. 실행은 하나의 체계를 가지고 있다. 잘 수립된 전략이 곧 잘 실행되는 전략이라고 할 수는 없다. ‘전략 = 실행’ 이기 때문이다. 흔히 과제를 실행한다고 할 때, 과제추진일정 계획서와 함께 과제 정의서 작성이 필요하다. 과제추진일정 계획서는 앞서 본 전략과제 별로 세부 실행과제에 대한 추진일정을 제시한다. 여기..
직원 참여를 통해 전략의 핵심과제를 도출하라 _ 방향 설정 및 전략 수립 5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전략 수립은 단순히 어떤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만 설정하는 것이 아니다. 해당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제가 나와야 한다. 그래야 ‘전략=실행’이라는 공식이 성립한다. 전략과제는 설정한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의 일환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제는 기업 관점에서 보면, 기업의 사업 영역, 해당 사업의 전략 목표(방향), 전략과제, 실행과제 순으로 제시된다. 실행과제 단계로 내려갈수록 과제의 성격은 구체적이 되며, 해당 과제를 담당하는 조직 또한 팀이나 파트 단위가 된다. 예상되는 담당 조직의 참여를 통한 과제 도출이 필수적이며, 특히 비전하우스와 마찬가지로 전략적 연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