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는 기획

콘텐츠 마케팅 _ Economy Chosen 본문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 _ Economy Chosen

트리플티아라 2017. 4. 2. 23:24

콘텐츠 마케팅

Economy Chosen 2017. 01. 25





‘충성 고객’ 확보하려면 ‘콘텐츠 마케팅’이 효과



 매스 마케팅 시대에 기업은 좋은 제품을 만들고, 미디어 회사는 재미있는 콘텐츠를 만들고, 광고회사는 둘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분담했다. 그러나 매스 마케팅은 한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실패했다. 그것은 기업과 소비자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었다는 것이다. 광고는 방송을 보기 위해 소비자가 견뎌야 하는 일종의 스팸이 돼 버린 지 오래다.


 콘텐츠 마케팅은 스토리텔링, 바이럴 마케팅, 이벤트 마케팅, 소셜 마케팅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매스 마케팅과의 큰 차이점은 미디어 회사가 전담하던 콘텐츠 개발을 기업이 직접 한다는 것이다. 효율성 면에서는 전문 기획사가 더 나을지 모르지만 회사가 직접 수행했을 때의 장점은 일관성과 지속성이다.


 콘텐츠 마케팅의 목표는 소비자와 기업이 직접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해 신뢰를 쌓게 하는 것이다. 과거 매스 마케팅이 알리고 판매하는 수단이었다면 콘텐츠 마케팅은 소통하고 공감하는 수단이다.




 첫째, 기업은 소비자를 잘 이해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그 콘텐츠를 자신의 입장에서 평가하지 말고 철저하게 소비자의 입장에서만 봐야 한다. 콘텐츠는 고객의 관심사를 총족시키기 위한 수단이지 영업하는 수단이 돼선 안된다.


 둘째, 콘텐츠 마케팅은 마라톤이지 단거리 경주가 아니다. 물방울이 떨어져 바위를 뚫는 것처럼 콘텐츠 마케팅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은 인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단 신뢰 관계가 구축되고 나면 성공은 보장된 것이나 다름없다.


 셋째, 종업원 모두가 콘텐츠를 생성하는 지식근로자가 돼야 한다.


 넷째, 비용을 염두에 둬야 한다. 콘텐츠 마케팅은 장기적으로 승부를 봐야 한다. 이 때문에 자원 배분에 있어서도 적은 비용을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 마케팅은 콘텐츠를 자체 제작하고 무료 채널을 통해 배포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마지막으로 마케팅 예산이 충분한 기업은 콘텐츠 마케팅과 매스 마케팅을 병행해야 한다. 매스 마케팅은 광고 노출을 광범위하게 하고 단기적인 판매 성과를 거두는 데 유용하다. 콘텐츠 마케팅만을 사용할 경우 놓치는 고객이 생길 수 있고, 판매까지 이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에 대한 진입  (0) 2017.07.04
마인드에 대한 공격  (0) 2017.07.03
포지셔닝이란 무엇인가?  (0) 2017.07.0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