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사업계획서
- 타오바오
- 시장분석
- 전술
- 기획안
- 전략수립
- 스토리텔링
- 패러다임
- 마케팅
- 경영
- 광고
- 커뮤니케이션
- 문제해결
- 중국시장
- 기획
- 카피
- 리더십
- 환경분석
- 내부역량분석
- 전략
- 시스템
- 브랜딩
- #기획 #마케팅 #기획서 #기획안 #전략 #경영 #경제
- 컨셉
- 티몰
- 조직문화
- 중국 대행사
- 기획서
- 중국 온라인 쇼핑몰
- 산업 분석
- Today
- Total
목록브랜딩 (3)
이기는 기획
컨셉 부여 3한마디면 충분하다 _ 장문정 유머가 있으면 반은 먹고 들어간다 컨셉 문구에 유머를 담는 것은 좋은 시도다. 보는 이의 마음을 부드럽게 만들어 누그러뜨리고 호기심도 적절히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유희, 언어파괴도 쓸 만한 카드 언어유희란 한마디로 말장난을 의미한다. 가장 흔히 쓰이는 것은 핵심 글자의 운율을 도드라지게 하거나 반복해서 운을 맞추는 방법이다. 이러한 언어유희의 단점은 자칫 상품을 가볍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잘못하면 상품이 싸구려나 저질로 보일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저관여 상품을 어필할 때 써야 한다. 점잖지 못한 것은 보통 품위를 떨어뜨린다. 특히 가격대가 높아 진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고관여 상품에서는 상품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 라임을 활용한 컨셉 라임의 법칙을 ..
컨셉 부여 2한마디면 충분하다 _ 장문정 컨셉확장 1. 본질은 놔두고 용도만 전환하기 용도를 전환하거나 조금씩 변화를 주어 확장성을 키우는 것도 컨셉을 강화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컨셉 문구가 뽑히면 겁을 내는 기업들이 있다. 마치 그 컨셉이 두 번 다시 바꿀 수 없는 영원한 문신이라도 되는 듯 걱정하는 것이다. 한번 정한 컨셉에 너무 연연할 필요는 없다. 트렌드가 계속 바뀌는데 어찌 과거의 컨셉이 영원할 수 있겠는가. 확장성 개념의 컨셉 변화를 시도할 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본질은 놔두고 용도만 전환하는 컨셉이다. 흔히 기업은 브랜드가 성공하면 그 후광효과Halo Effect를 등에 업고 제품군을 확장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 때 브랜드의 본질이 흔들리고 이미지가 타격을 받을 수도 ..
컨셉 부여 1한마디면 충분하다 _ 장문정 소비 충동을 유발하는 초강력 한마디 상품은 망해도 컨셉은 우리의 뇌리 속 기억을 영원히 지배한다. 무심결에 흥얼거리는 오래된 광고 CF로고송, 상품의 이미지 및 유행어가 머릿속에 떠다니는 것만 봐도 그렇지 않은가. 한국에서는 한 해에 거의 20만 개씩 음식점이 생겨난다. 그 많은 업체의 한결같은 지상과제는 남과 차별화된 자신만의 고유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컨셉이다. 다시 말해 가게의 특색과 스토리를 담은 컨셉이 장사의 시작이다. 상품을 론칭할 때는 그 상품을 대변하는 한 마디 또는 한 줄의 컨셉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하느냐 아니냐를 결정짓는다. 상품력이 칼날이라면 컨셉은 칼자루와 같아서 컨셉이 좋을 경우 내 맘대로 시장을 휘두를 수 있다. 컨셉은 마치 집을 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