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는 기획

전략 실행을 위한 과제 및 이슈 관리 체계를 수립하라 _ 실행 계획 수립 4 본문

전략

전략 실행을 위한 과제 및 이슈 관리 체계를 수립하라 _ 실행 계획 수립 4

트리플티아라 2017. 8. 1. 17:00

전략 실행을 위한 과제 및 이슈 관리 체계를 수립하라 _ 실행 계획 수립 4

  • 전략 수립의 신 _ 박경수




전략의 실행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있어서 혼자서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예상 못한 문제들이 항상 나오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갑작스런 예산삭감이나 인력의 구조조정 같은 이슈가 생기면, 해당 과제를 진행하던 팀은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예산, 인력의 부족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에 처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런 문제가 과거와 달리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단순히 예산과 인력이 없어서 과제를 수행하기 어렵다고 말하기보다는 어찌 되었든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과제 및 이슈 관리는 무엇보다 정기적인 보고 체계가 필요하다. 프로젝트 기간의 짧고 길고를 떠나 정기적인 보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비대면으로 이메일을 통한 보고보다는 대면을 통해 실제 과제의 진행상황이 어떻게 문제는 없는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과제의 진행상황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기본적인 진척률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수행되고 있는 과제의 품질이 어떤지에 대해서도 볼 필요가 있다. 진행 여부보다 더 중요한 것이 실행에 문제가 없는지이기 때문이다.




사소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도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과 함께 구체적인 해결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현재처럼 진행하되 필요한 지원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세부 이슈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 과제 수행 시 추가 예산이나 인력에 대한 요청이 있다면, 그 예산이나 인력에 대한 타당성 검토, 예산 및 인력 추가 확보 등에 세부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일정도 마찬가지다. 갑작스런 과제 수행 범위의 확대나 과제 지연 등으로 기간이 더 필요하다면, 과제 수행에 추가로 들어간 자원을 어떻게 재할당할지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과제 및 이슈관리 체계를 정리하면, 과제 세부계획 설정 단계와 과제 실행 및 관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과제 추진 조직 설정, 세부 추진 계획 설정, 진행 상황 보고 및 평가, 이슈 대응 방안 마련, 지속적인 정기보고다.




과제 및 이슈관리는 사전에 과제에 대한 명확한 역할과 책임 설정을 전제로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제 및 이슈 관리는 예상치 못한 문제에 대한 관리가 아니라 예상된 문제에 대한 관리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과제에 대한 세부 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있어야 한다.




모니터링을 통한 안정적인 전략 실행의 토대, 과제 및 이슈관리의 키포인트


  1.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라.

  2. 이슈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

  3. 과제 별 담당자를 명확하게 지정하라.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