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영
- 컨셉
- 타오바오
- 마케팅
- 카피
- 티몰
- 문제해결
- 환경분석
- 중국 온라인 쇼핑몰
- #기획 #마케팅 #기획서 #기획안 #전략 #경영 #경제
- 산업 분석
- 중국 대행사
- 브랜딩
- 패러다임
- 중국시장
- 기획안
- 스토리텔링
- 전략
- 시장분석
- 조직문화
- 시스템
- 내부역량분석
- 전술
- 기획서
- 광고
- 기획
- 커뮤니케이션
- 리더십
- 사업계획서
- 전략수립
- Today
- Total
이기는 기획
기획관련 용어의 정리 2 _ 기획이란 무엇인가? 본문
기획관련 용어의 정리 2
기획이란 무엇인가? _ 길영로
목적과 목표를 구분 못하면 쓸 데 없는 일을 하게 된다
고단샤에서 출간한 <현대철학사상사전>에 의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목적을 ‘존재인’이라고 했다. 존재인이란, 사물의 존재의 이유를 말한다.
일을 시작할 때는 항상 목적부터 명확화 해야 한다. 목적을 명확화 하지 않고 일을 하면 쓸 데 없는 일을 하게 된다. 목적이 사라지만 존재의 이유도 사라진다.
목표에는 반드시 두 가지 개념이 들어가야 한다. ‘기간’과 ‘수준’이다. 목표는 ‘일정 기간 내에 도달 또는 달성해야 할 바람직한 수준’이다.
목표를 설명할 때 ‘바람직한’이라는 말도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다. 바람직하다는 말은 두 가지가 동시에 충족되었을 때 성립하는 것이다. 첫째, 자기 자신이 만족해야 한다. 내가 만족하지 못하면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둘째, 사회가 인정해야 한다. 자기 자신이 만족한다고 해도 사회가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물론 조직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조직이 인정해야 한다.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충족되어야 바람직한 것이다.
사실과 의견을 구분 못하면 ‘그건 네 생각이고’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사실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1.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 있는 일,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일을 솔직하게 말할 때 쓰는 말. 사실은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 있는 일, 즉 입증이 가능한 일이다.
팩트의 정의는 ‘입증 또는 반증이 가능한 것’이다. 비즈니스맨은 일을 하고 논리를 전개할 때 철저하게 입증할 수 있는 팩트에 입각해서 풀어나가야 한다. 팩트에 입각해서 풀어나가되 한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있다. 바로 팩트의 진실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이다. 팩트와 진실은 다르기 때문이다. 팩트의 진실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기획해서 보고하면 경영자들이 오판을 할 수 있다. 팩트의 진실성 확보. 실무자들이 이것을 얼마나 철저히 하느냐에 기획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견이란 ‘어떤 대상에 대하여 가지는 생각’이다. 논리학에서는 ‘반론이 존재하는 생각’을 의견이라 한다.
논리학에서 추론이란 ‘어떤 판단을 근거로 삼아 다른 판단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비즈니스맨이라면 추론을 ‘알려져 있는 사실을 바탕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을 알아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 즉, 자기 주장(의견)을 하려면 반드시 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 근거는 반드시 팩트여야 한다. 추론을 할 때 주의할 점은 논리의 비약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을 잘하려면 질문하고 질문하고 또 질문하라 (0) | 2017.06.28 |
---|---|
정보관리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비축한다 (0) | 2017.06.16 |
컨셉은 기획에서 접착제와 꼬치구이 역할을 수행한다 (0) | 2017.06.15 |
기획관련 용어의 정리 1 _ 기획이란 무엇인가? (0) | 2017.04.10 |
기획 프로세스 _ 기획이란 무엇인가 (0) | 2017.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