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광고
- 컨셉
- 시장분석
- 사업계획서
- 기획
- 기획서
- 스토리텔링
- 카피
- 전술
- 산업 분석
- 마케팅
- 타오바오
- 브랜딩
- 중국 온라인 쇼핑몰
- 전략수립
- 전략
- 경영
- 중국시장
- 시스템
- 조직문화
- #기획 #마케팅 #기획서 #기획안 #전략 #경영 #경제
- 티몰
- 중국 대행사
- 커뮤니케이션
- 환경분석
- 기획안
- 문제해결
- 내부역량분석
- 패러다임
- 리더십
- Today
- Total
목록전략 (30)
이기는 기획
전략 체계화를 위한 비전 하우스를 만들어라 _ 방향설정 및 전략수립 3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아무리 개별 전략을 잘 수립했다고 하더라도, 개별 전략들이 추구하는 방향이 각각 다르다면 어떻게 될까? 제대로 실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발 전략을 실행하는 조직 간에 마찰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이는 방향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배의 선장이 방향을 제대로 알려주지 않으면, 선원들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비전하우스는 미션, 비전, 핵심가치, 전략 방향 및 목표, 전략과제 등을 포함한다. 비전하우스는 해당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에서 시작된다. 우리 회사의 존재 이유(미션)가 있다면, 중장기적으로 어떤 목표(비전)를 가지고 있고 해당 목표에 따른 전사 전략 방향..
선도기업을 벤치마킹해 전략의 핵심을 파악하라 _ 방향설정 및 전략수립 2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벤치마킹은 선도기업의 사업구조, 시스템, 업무 프로세스, 제도, 조직문화 등의 우수한 점을 학습하여 자사에 적용하는 것이다. 벤치마킹은 중요한 경영툴 중의 하나이다. 우리가 전략을 수립할 때도 벤치마킹이란 꼭지가 꼭 들어간다. 벤치마킹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해볼 수 있다. 1)벤치마킹의 목적 설정, 2) 대상 선정, 3)방법 결정, 4) 시사점 도출이다. 벤치마킹의 목적을 생각해보자. 어떤 기업을 벤치마킹한다면, 분명 그 이유가 존재한다. 벤치마킹의 목적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업의 비전이나 전략, 사업구조, 비즈니스 모델, 인력이나 조직구조, 상품 포트폴리오 등 다양하다. 벤치마킹 목적 설정 후에는..
SWOT 분석을 통해 전략 방향을 설정하라 _ 방향설정 및 전략수립 1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회사의 전략기획 담당부서에서 사업계획을 수립하거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할 때면 SWOT 분석이라는 것을 한다. SWOT은 회사의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에 대한 분석이다. 강점과 약점은 회사 내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기회와 위협은 회사 위부의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SWOT 분석은 매우 간단한 비즈니스 툴이지만, 우리는 SWOT 분석을 통해 회사의 전략방향을 설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단순히 4가지 요인을 나열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강점X기회, 강점X위협, 약점X기회, 약점X위협 등으로 4가지 요인을 결합시..
조직현황 진단을 통해 내부 개선 포인트를 제시하라 _ 내부역량분석 5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비전은 회사의 방향과 목표를 알려줘 모든 조직구성원들이 한 방향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전략을 수립할 때,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회사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립한다. 단순히 비전명이나 슬로건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회사 전반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다. 조직진단 또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회사 문화나 제도에 대한 형식적인 조사가 아니다. 조직진단을 위해서는 프레임 설정이 필요하다. 설문조사나 인터뷰 등을 할 때는 기본적으로 조사영역(카테고리)과 세부 조사내용 설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직(문화)진단의 대표적인 프레임이 7S다. 기본 프레임은 유지하면서 회사가 속한 산업영역, 조직의 특수성 등을 ..
가치사슬을 분석해 기업의 핵심역량을 도출하라 _ 내부역량분석 4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회사 업무에는 기본적으로 순서가 있다. 어떤 일이 처리되고 나면 그 일을 받아 다음 일을 처리한다. 우리는 보통 이러한 업무 처리 순서를 업무 프로세스라고 한다. 개인뿐만 아니라 팀, 사업부, 더 나아가 기업 전체의 업무 흐름이 존재한다. 그리고 기업을 넘어서면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프로세스가 있다. 마이클 포터는 이를 ‘가치사슬’이라고 부른다. 공연을 예로 들어보면 공연산업은 공연장 > 공연 기획 / 제작 > 공연 홍보 / 마케팅 > 티켓 판매의 가치사슬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가 가치사슬을 분석하는 이유는 기업의 주요활동 분석과 함께 핵심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동일 산업 내에 있는 모든 기업이 동일한 가치사슬..
핵심 고객을 파악해 선택과 집중을 하라 _ 내부역량 분석 3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모든 전략의 핵심은 고객이다. 고객이 원하는 것, 구매한 것, 실제 구매한 고객이 누구인지를 아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우리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고객분석을 실시한다. 현재 우리의 고객을 파악하고 그 고객 중 매출에 기여하고 있는 고객과 기여하지 못하는 고객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고객분석은 어떻게 해야 할까? 고객 분석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객의 정의, 고객의 세분화, 핵심구매요인 파악, 고객등급 분류 및 관리 등이다. 먼저 우리 고객이 누구인지 스스로 정의해볼 필요가 있다. 고객의 정의는 보통 기업의 존재 이유인 미션에서도 찾을 수 있다. 각 기업이 자신의 미션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고객..
사업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구조를 분석하라_내부역량분석2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한 기업이 수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창업 초기의 사업이 현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추가된 사업들은 무엇이 있는지 봐야 한다. 뿐만 아니라 현재 및 향후에 해당 사업들이 어떻게 될지에 대한 생각도 필요하다. 왜냐하면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것저것 사업 아이템을 추가하고 사업영역을 확대할 경우, 기업의 미션에 맞지 않는 사업이나 역량과 관계없이 CEO의지로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이다. BCG 매트릭스는 1970년대 브루스 헨더슨이 설립한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BCG(보스턴컨설팅그룹)가 개발했다. BCG 매트릭스는 크게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시장성장률이라는 2가지 축을 활용한다. 이 두 축에 의..
기업의 성장경로를 통해 성장의 원동력을 파악하라_내부역량분석 1전략수립의 신 _ 박경수 기업의 성장사를 분석함으로써 미래 비전을 설정하기 위한 기반을 닦을 수 있다. 어떤 기업들은 과거의 성공 경험을 통해 자사의 핵심 사업이나 역량을 찾기도 한다. 성장사에는 그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이념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성장사는 해당 기업이 추구하는 사업의 본질과 함께 성장의 원동력을 알게 해준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우리는 기업의 성장사를 기업의 연도별 활동을 단순히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 의미가 내포되도록 분석해야 한다. 먼저 기간과 매출성과를 기반으로 성장단계를 구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처럼 창업(정착), 성장, 성숙, 도약 등으로 성장단계를 구분한다. 이와 함께 조직 구조..
전략집단도를 통해 경쟁자들의 포지션을 확인하라_외부환경분석 5전략 수립의 신 _ 박경수 동일 산업에서 경쟁을 하더라도 산업 내 모든 기업들을 우리 기업의 핵심 경쟁자로 보지는 않는다. 쉽게 생각해보면, 국내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기업과 해외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기업은 동일 산업에 있더라도 서로를 핵심 경쟁자로 보지 않는다. 국내 시장 타깃 기업은 국내시장 1위 기업을, 해외시장 타깃 기업은 해외시장 1위 기업을 핵심 경쟁자로 정의한다. 이처럼 산업 내 기업들 중 동일한 혹은 유사한 전략을 추구하는 집단들이 있는데, 이를 전략집단이라고 부른다. 유사한 전략을 추구하는 기업 집단을 알면, 해당 집단 내에서 어떤 경쟁 전략을 취해야 할지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집단 전략 사례에는 해당 산업의 기업들을 분류하..
게임의 룰인 산업의 핵심 성공요인을 도출하라_외부환경분석 4전략 수립의 신 _ 박경수 앞서 산업구조 분석, 경쟁자 분석 등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러한 분석의 목적은 결국 산업의 핵심 성공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산업분석 보고서가 수십 장이 쌓여 있더라도 산업의 핵심 성공요인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면, 그 보고서는 결국 어떠한 통찰도 주지 못한 채 시장 조사 수준에서 끝나버린다. 산업의 핵심 성공요인은 해당 산업에 진입함에 있어 혹은 해당 산업 내에서 경쟁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핵심 성공요인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경쟁을 할 수 있고, 성공요인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시장 내 게임의 룰을 파악해야 한다. 산업의 성공요인 도출은 산업구조 분석이나 경쟁..